1. print함수를 사용해서 hello python 을 출력해보세요

정답:

더보기
print("hello python")

"(큰따옴표)를 이용하여 hello python 문자열을 감싸 출력하였습니다.


2. 1번 문제에서 사용한 방식이 아닌 다른방식으로 hello python 을 출력해보세요

정답:

더보기
print('hello python')

 '(작은따옴표)를 이용하여 hello python 문자열을 감싸 출력하였습니다.


3. Python is "awesome" 을 출력하세요 ""큰 따옴표도 같이 출력되어야 합니다.

정답:

더보기
print('Python is "awesome"')

큰따옴표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문자열을 작은 따옴표로 감싸면 됩니다.


4. 문자열 "Python" 과 문자열 "Rocks!" 를 하나의 문자열로 이어 붙여 출력해보세요.

정답:

더보기
print("Python"+"Rocks!")

 문자열의 더하기를 이용하여 하나의 문자열로 이어붙일 수 있습니다.


5. 다음 코드를 실행하면 나오는 결과를 예측해보세요.

print("Python","Rocks!")

 

정답:

더보기

Python Rocks! 가 출력됩니다. Python 과 Rocks! 사이에 공백이 자동으로 추가됩니다.


6. 숫자 10과 5의 합을 print 함수를 이용하여 출력하세요.

정답:

더보기
print(10+5)

print함수에서 바로 연산된 결과값인 15가 출력됩니다.


7. 2개의 문자열 "Hello"와 "Python"이 있습니다. Hello-Python이 출력되도록 코드를 작성하세요
(힌트. sep= 인자를 사용합니다.)

정답:

더보기
print("Hello", "Python", sep="-")

 sep='-' 인자에 - 값을 넣어 콤마와 콤마사이에 값을 추가하였습니다.


8. 코드의 결과를 예측해보세요

print("Hello", "Python", sep="")

정답:

더보기

HelloPython 이 출력됩니다. sep인자에 공백도 넣지 않았기 때문에 콤마와 콤마사이에는 아무런 값도 입력되지 않습니다.


9. end 인자를 이용하여 다음 출력 결과를 만드세요.
Hello@Python@

 

정답:

더보기
print("Hello",end="@")
print("Python",end="@")

 end를 이용하여 종료인자를 @로 하여 출력하였습니다.


10. 코드의 결과를 예측하세요

print("Python", end=" ")
print("Rocks!")

 

정답:

더보기

Python Rocks!

첫번째 print의 종료값에 공백이 들어가 있기때문에 줄바꿈 대신 공백이 입력되었습니다.


11. 다음 코드의 출력 결과를 예측하세요.

name = "Python"
print("Welcome to", name)

 

정답:

더보기

Welcome to Python 이 출력됩니다.

, 콤마는 공백이 자동으로 입력되어 더해집니다.


12. 다음 코드를 실행했을 때 출력 결과는 무엇인가요?

# print("Hello, World!")
print("Python is awesome!")

 

정답:

더보기

Python is awesome! 만 출력됩니다. Hello, World!를 출력하는 코든는 주석처리 되었습니다.


13. 주석을 사용하여 다음 코드에서 print("Goodbye!")만 출력되도록 수정하세요.

print("Hello!")
print("Goodbye!")

 

정답:

더보기
#print("Hello!")
print("Goodbye!")

Hello!를 출력하는 코드는 #으로 주석처리 하였습니다.


14. 다음 코드를 실행했을 때 출력 결과는 무엇인가요?

print("Python") # This is a comment
# print("Java")
print("C++") # Another comment

 

정답:

더보기

출력:

Python
C++

 

Java는 #으로 주석처리되어 출력되지 않습니다.


15. 아래의 코드에서 모든 줄을 주석 처리하여 코드가 아무런 출력을 하지 않도록 하세요.

name = "Alice"
age = 30
print(name)
print(age)

 

정답:

더보기
# name = "Alice"
# age = 30
# print(name)
# print(age)

 #을 이용해서 한줄씩 주석처리 하였습니다. 

 

"""
name = "Alice"
age = 30
print(name)
print(age)
"""

 """(큰따옴표 3개)를 이용하여 여러줄을 문자열로 만들어 주석처리 하였습니다.

 

두가지 방법으로 주석처리를 하였습니다.

주석(Comment)은 코드 내에서 실행되지 않고,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작성되는 설명이나 메모입니다. 주석은 다른 개발자들이 코드의 목적, 동작 방식, 사용 방법 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자신이 작성한 코드라도 나중에 다시 볼 때 그 의미를 명확히 기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용합니다.

 


파이썬의 주석은 #을 이용합니다.

 

코드:

#샵은 주석입니다.
print("hello")

 

결과:

hello

 

#샵은 주석입니다. 는 주석으로 코드에는 영향을 받지 않아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았습니다. print함수만 동작하여 값을 출력하였습니다.


코드의 #이후부터 같은줄은 주석으로 처리됩니다.

 

코드:

#샵은 주석입니다.
#print("hello")

 

결과:

아무값도 출력하지 않습니다.

 

print함수또한 주석이 되어 아무값도 출력되지 않습니다.


코드와 같은 줄에 #을 입력하여 주석처리 가능합니다.

 

코드:

#샵은 주석입니다.
print("hello") #샵 이후부터 주석처리 됩니다

 

결과:

hello

 

#이후부터 주석처리 되어 hello는 이상없이 출력되었습니다. 보통 그줄의 코드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vscode 또는 편집기에서는 편집기 자체 에서 주석처리를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vscode에서는 주석을 하고싶은 부분을 드레그하여 선택 후 [컨트롤 + /]를 누르면 선택할 줄들이 주석처리 됩니다.

 

내가 선택한 부분이 주석처리 되었습니다.

 

편집기 마다 단축키가 조금씩 다르나 대부분의 편집기에서는 주석을 손쉽게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큰따옴표 3개) 를 이용해 문자열로 만들어 여러줄을 주석처리 할 수 있습니다.

 

코드:

"""
name = 'jay'
age = 25
print(name,age)
"""

 

여러줄을 """(큰따옴표 3개) 를 이용해 문자열로 만들어 주석처리 하였습니다. 코드를 실행해도 주석코드로 에러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작은따옴표 3개) 역시 문자열로 만들어 여러줄을 주석처리 할 수 있습니다.

 

코드:

'''
name = 'jay'
age = 25
print(name,age)
'''

 

'''(작은따옴표 3개) 역시 문자열로 만들어 여러줄을 주석처리 하였습니다.


 

print 함수를 이용해 문자를 출력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print 함수는 파이썬 프로그래밍에서 매우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기능 중 하나로, 변수에 저장된 값을 확인하거나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를 화면에 출력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print 함수는 사용자가 원하는 메시지나 데이터를 출력하는 다양한 방법을 제공하기 때문에, 파이썬을 배우고 활용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print 함수에 "" (쌍따옴표 )를 이용하여 출력하고 싶은 문자열을 감싸 출력할 수 있습니다.

 

코드:

print("hello python")

 

결과:

hello python

 

쌍따옴표로 감싼 문자열인 hello python이 출력되었습니다.


'' (작은따옴표)로 문자열을 감싸 출력 할 수 있습니다.

 

코드:

print('hello python')

 

결과:

hello python

 

결과 역시 동일하게 출력되었습니다.


""(큰따옴표) 또는 ''(작은따옴표로) 감싼 값은 문자열로 값의 출력이 가능합니다. 파이썬에서는 왜 두가지형태로 문자열의 값을 표현하였을까 의문이 듭니다. 그 이유로는 아래 예제 코드와 같이 출력되는 문자열에 작은 큰따옴표를 포함하고 싶다면 작은따옴표로 감싸 값을 출력합니다.

 

코드:

print('say "hello"')

 

결과:

say "hello"

 

작은 따옴표로 감싸 큰 따옴표가 잘 출력되었습니다.


반대로 작은 따옴표를 출력하고 싶다면 큰따옴표로 감싸 값을 출력하면 됩니다.

 

코드:

print("say 'goodbye'")

 

결과:

say 'goodbye'

 

큰따옴표로 감싸 작은따옴표가 잘 출력되었습니다.


문자열이 아닌 숫자도 출력이 가능합니다.

 

코드:

print(123)

 

결과:

123

 

숫자역시 잘 출력되었습니다. 문자열의 경우 "" (큰따옴표) 또는 ''(작은따옴표)로 감싼형태이고 숫자는 숫자 그대로의 형태 입니다.


소수점 출력도 가능합니다.

 

코드:

print(3.141592)

 

결과:

3.141592

 

소수점 형태로 잘 출력되었습니다.


단 숫자도 문자도 아닌 형태의 경우는 변수 또는 형식에 맞지 않은 값으로 에러가 발생합니다.

 

코드:

print(a3)
print(3a)

 

결과:

에러가 발생합니다.

a3은 변수이름으로 적당하나 선언되지 않아 값을 출력할 수 없어 발생하는 에러입니다.

3a는 변수는 숫자로 시작할 수 없기때문에 발생하는 에러입니다.


 

print함수를 이용하여 변수의 값을 출력 할 수 있습니다. 변수는 3장에서 더욱 자세하게 다룹니다. 아직 배우기 전이지만 변수의 값도 출력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예제 입니다.

 

코드:

name = "jay"
print(name)

 

결과:

jay

 

name 이라는 변수에 문자열 jay가 바인딩되어 있습니다.

print함수를 이용하여 name 변수를 출력하면 그 값인 jay가 출력됩니다.


변수로 바인딩된 값 역시 문자열 뿐만 아니라 다양한 값의 출력이 가능합니다.

 

코드:

age = 25
print(age)

 

결과:

25

 

문자열, 숫자, 소수점형, 리스트, 튜플 등 모든값의 출력이 가능합니다. 


print함수에 ,(콤마)를 이용하여 여러개의 값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

 

코드:

print("hello","python",3)

 

결과:

hello python 3

 

콤마를 이용하면 값과 값 사이에 자동으로 공백이 입력됩니다.


sep 인자를 이용하여 ,(콤마)에 의해 분리되는 값을 지정 할 수 있습니다. 지정하지 않으면 공백이 자동으로 들어가고 인자를 넣으면 공백대신 사용자가 지정한 값으로 입력됩니다.

 

코드:

print("hello","python",3,sep='-')

 

결과:

hello-python-3

 

sep='-' 인자에 -을 넣어 값과 값 사이이에 - 입력되었습니다. 


sep인자에 공백도 넣지 않을경우에는 공백 값도 없이 값이 출력됩니다.

 

코드:

print("hello","python",3,sep='')

 

결과:

hellopython3

 

sep='' 으로 공백도 넣지 않았기 때문에 값과 값사이는 아무값도 입력되지 않았습니다.


print함수는 한줄이 끝나면 자동으로 줄바꿈이 들어가 줄을 바꿔 출력합니다.

 

코드:

print("hello")
print("python")

 

결과:

hello
python

 

hello를 출력 후 줄바꿈을 하였습니다. python도 출력 후 줄바꿈을 하였습니다.


end 인자를 이용하여 print함수의 마지막에 출력되는 값을 변경 할 수 있습니다. 

 

코드:

print("hello",end="")
print("python")

 

결과:

hellopython

 

end="" 인자에 아무값도 넣지 않아 줄바꿈 대신에 아무값도 끝에 출력되지 않았습니다. hello만 출력하고 python을 출력하여 이어 붙인 형태로 출력되었습니다.


end 종료 인자에 원하는 값을 입력하여 출력되는 글자 끝에 원하는 종료문자를 붙일 수 있습니다.

 

코드:

print("hello",end="@")
print("python",end='*')

 

결과:

hello@python*

 

hello의 끝에는 @가 출력되었고 python의 끝에는 *이 출력되었습니다. end 인자를 사용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줄바꿈이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end 인자를 이용하여 종료문자를 원하는 값으로 변경 가능합니다.


한줄이 아닌 여러줄을 표시하고 싶을때는 """(큰 따옴표 3개)로 시작하고 다시 """(큰 따옴표 3개)로 끝나면 여러줄을 표현 할 수 있습니다.

 

코드:

print("""여러줄을
표시 할 수 
있습니다""")

 

결과:

여러줄을
표시 할 수 
있습니다

 

"""(큰 따옴표 3개)를 이용하여 여러줄의 문자열을 출력하였습니다.


'''(작은 따옴표 3개) 역시 동일하게 여러줄의 문자열의 출력이 가능합니다.

 

코드:

print('''작은따옴표
역시 여러줄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결과:

작은따옴표
역시 여러줄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작은 따옴표 3개) 역시 여러줄의 문자열을 출력하였습니다. 큰따옴표와 작은따옴표 2개 모두 사용하는 이유는 작은 따옴표를 출력하고 싶을때는 큰따옴표로 감싸고 큰 따옴표를 출력하고싶을때는 작은따옴표로 감싸기 위함입니다.


print 함수에서 바로 연산을 하여 출력도 가능합니다.

 

코드:

print("hello"+"python")

 

결과:

hellopython

 

문자열의 더하기인 이어붙인 형태로 출력되었습니다. print함수에서 바로 연산을 통해 결과를 출력하였습니다.


숫자의 연산또한 가능합니다.

 

코드:

print(1+3)

 

결과:

4

 

두개의 숫자를 더한 후 그 값을 출력하였습니다.


 

주피터 노트북 또는 쉘 에서는 print함수 없이 마지막 연산 또는 변수의 값이 바로 출력됩니다.

 

코드:

1+3

 

결과:

4

 

주피터노트북 또는 쉘에서 연산을 하여 그값을 출력하였습니다. print함수가 없이도 마지막값의 확인이 가능합니다.


주피터 노트북 또는 쉘 에서는 변수의 값 역시 변수명을 입력하면 출력이 가능합니다.

 

코드:

name = "jay"
name

 

 

결과:

'jay'

 

주피터노트북에서는 변수의 형태도 따옴표로 감싼 'jay' 값이 출력되기 떄문에 문자열이라는 것을 바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소스코드

AI_CAR.zip
0.00MB

 

 

 

카메라 및 서보모터 라이브러리

library.zip
0.00MB

 

 

* 블로그의 내용은 [위 글] [아래 그림] 순서로 되어 있습니다.

 

FreeFileSync(프리파일싱크)는 파일 및 폴더를 동기화하고 백업할 수 있는 무료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특히 두 개 이상의 디렉토리 간에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변경 사항을 동기화하는 데 유용합니다. 주로 Windows, macOS, Linux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링크주소에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https://freefilesync.org/

 

FreeFileSync

Download FreeFileSync 13.7. FreeFileSync is a free open source data backup software that helps you synchronize files and folders on Windows, Linux and macOS.

freefilesync.org

 

 

[Download]를 클릭하여 다운로드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스크롤을 조금 아래로 내려 자신의 운영체제에 맞는 버전을 선택하여 다운로드 받습니다.

 

 

프로그램을 설치완료하면 [FreeFileSync]와 [RealTimeSync] 생성됩니다. 두개의 차이점은 [FreeFileSync]의 경우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동기화를 클릭한 경우 동기화가 진행되고 [RealTimeSync] 는 실시간으로 계속 동기화 합니다.  [RealTimeSync] 의 경우 batch 파일을 만들어 사용해야 하므로 일반적으로 사용하기에 는 어렵기에 다루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FreeFileSync]를 실행하였습니다.

 

동기화 하고싶은 폴더를 두개 선택합니다. 보통 왼쪽에는 원본폴더 오른쪽은 백업폴더로 선택합니다.

 

 

동기화 방식을 선택합니다. 

 


1. 양방향 (Bidirectional)
양방향 동기화는 두 개의 폴더 간에 모든 변경 사항을 반영하여 양쪽 폴더가 동일한 상태가 되도록 합니다. 
- 작동 방식: 양쪽 폴더에서 파일이 추가되거나 수정된 경우, 다른 폴더에도 해당 변경 사항이 적용됩니다. 즉, 한쪽 폴더에서 삭제된 파일이 있으면 다른 폴더에서도 삭제되고, 새로운 파일이 추가되거나 수정된 경우 양쪽에 모두 동기화됩니다.
- 사용 예: 예를 들어, 직장에서 작업한 파일을 집에서도 동일하게 유지하고 싶을 때, 양방향 동기화를 설정하면 양쪽에서 작업한 내용이 자동으로 동기화됩니다.

2. 미러 (Mirror)
미러 동기화는 한 폴더(소스)의 모든 내용을 다른 폴더(대상)에 정확하게 복제합니다.
- 작동 방식: 소스 폴더의 상태가 대상 폴더에 그대로 복사됩니다. 소스 폴더에 없는 파일은 대상 폴더에서 삭제되고, 소스 폴더에 있는 파일은 대상 폴더에 복사됩니다. 즉, 대상 폴더가 소스 폴더의 "거울"처럼 똑같아지도록 만듭니다.
- 사용 예: 백업용으로 한 폴더를 다른 폴더에 정확하게 복제하고 싶을 때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중요한 데이터를 외장 하드 드라이브에 백업할 때 미러 동기화를 사용하면 소스 폴더와 동일한 백업 폴더를 만들 수 있습니다.

3. 업데이트 (Update)
업데이트 동기화는 소스 폴더의 파일을 대상 폴더에 추가하거나 덮어씁니다.
- 작동 방식: 소스 폴더에 있는 새로운 파일이나 수정된 파일이 대상 폴더에 복사되지만, 소스 폴더에 없는 파일은 대상 폴더에서 삭제되지 않습니다. 즉, 대상 폴더에 이미 있는 파일은 그대로 유지되고, 새로운 파일만 추가됩니다.
- 사용 예: 대상 폴더에서 기존 파일을 유지하면서 소스 폴더에서 업데이트된 파일만 복사하고 싶을 때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외장 하드에 여러 폴더의 백업을 유지하고, 새로운 파일이나 수정된 파일만 추가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폴더와 동기화 방식을 선택 후 [동기화] 버튼을 클릭하여 폴더를 백업합니다. 내가 선택한 동기화 방식 도 표시됩니다. 업데이트로 동기화하였습니다.

 

 

동기화할 파일의 검색이 완료 되면 동기화를 시작할건지 다시한번 물어봅니다. [시작]을 눌러 동기화를 진행합니다. 또한 이 대화 상자를 다시 표시 안 함 에 체크시 다음부터 바로 동기화됩니다.

 

 

동기화가 진행중입니다.

 

동기화가 완료되면 성공적으로 완료됨 이 표시됩니다. 

 

 

어떤 항목을 동기화하였는지 표시됩니다.

 

 

외장하드등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폴더 및 파일을 동기화 하는 유용한 프로그램입니다.

 

* 블로그의 내용은 [위 글] [아래 그림] 순서로 되어 있습니다.

 

LocalSend는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을 간편하게 공유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같은 공유기에 접속해 있다면

 

스마트폰 <->스마트폰

스마트폰<->PC

PC<->PC

간의 데이터 전송을 손쉽게 무제한으로 할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접속하여 홈페이지로 이동가능합니다.

https://localsend.org/ko

 

LocalSend: 주변 기기에 파일 공유

 

localsend.org

 

 

윈도우, 맥, 리눅스, 안드로이드, iOS 모두 지원합니다.

 

 

EXE 설치파일을 다운로드 받거나 또는 패키지 관리자를 통해 설치가 가능합니다.

 

 

설치시에는  English(영어)로 설치합니다. 기본 영어로 되어 있어 변경하지 않습니다. 영어로 설치하더라도 윈도우를 한글로 사용하면 한글로 표시됩니다.

 

 

 

PC프로그램을 설치하여 LocalSend를 실행한 화면입니다.  [수신], [송신], [설정] 이 있어 데이터를 보내거나 받을 수 있습니다. Cunning Apple은 랜덤으로 설정된 PC의 이름으로 [설정]에서 변경이 가능합니다.

 

처음화면은 수신화면으로 데이터를 수신받을 수 있습니다.

 

 

송신에서는 데이터를 보낼 수 있습니다. [파일],[폴더],[텍스트],[붙여넣기]를 통해 보낼 데이터를 결정합니다.

데이터를 선택 후 근처의 기기를 선택하면 데이터를 보낼 수 있습니다.  근처의 기기에서 LocalSend가 켜져있다면 아래와 같이 근처의 기기의 이름이 표시됩니다. 

 

 

설정화면입니다. 

 

[빠른 저장] 이 켜져있다면 데이터 수신시 받을건지 물어보지 않고 항상 데이터를 수신합니다. [빠른 저장]은 켜놓는게 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저장 위치]는 내가 원하는 폴더로 변경가능합니다. 기본 위치는 다운로드 폴더 입니다.

 

[별명]을 수정하여 이름을 변경 할 수있습니다. 이름을 변경 후 에는 새로고침 아이콘을 클릭하여야 이름변경이 완료됩니다.

 

 

스마트폰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플레이스토어, 앱스토어에서 "localsend"를 검색하여 앱의 설치가 가능합니다.

 

 

스마트폰앱에서도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스마트폰앱에서 미디어에서 사진을 선택 후 근처의 기기를 클릭하여 파일을 보낼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 PC, PC->PC, PC->스마트폰 간의 파일의 손쉽게 보낼 수 있습니다.

 

 

 

PC에서 설정된 폴더로 이미지파일이 잘 수신되었습니다. 스마트폰, PC에서 받는 폴더의 변경이 가능합니다. 기본폴더는 다운로드 폴더입니다.

+ Recent posts